대표정책
1 정치 직접민주주의 제도 도입 (헌법 개정) 국민발안, 국민소환, 국민투표
2 완전 비례대표제 국회의원 선거 지역구 중심이 아닌 전국구 중심 선거 (민의에 비례해서 정당별 당선자 배출)
3 삼통령제 (현행 대통령제 보완) 대통령 권한 분산 및 견제, 전문성 강화, 국민소환 가능
4 치안권·수사권·기소권 완전 분리 제도 사법 기관의 독점적 권한 분산 및 견제
5 공직 활동 사후 심사 및 사회적 책임 제도 국회의원의 입법 / 정부 관료의 행정 / 검찰의 수사 및 기소 / 판사의 판결 등
6 입법·행정·사법 업무 실시간 실명 공유 제도 디지털 민주주의 플랫폼 구축 및 실현
7 자유로운 정치 활동 보장 제도 교사, 공무원의 정당 가입 및 자유로운 정치적 활동 허용
8 경제 토지 공유제 도입 및 토지 사용세 부과 (단계적 적용 및 확대) 단계적으로 사유지 매입으로 공유지 확대 ➔ 토지 사용세 부과 ➔ 토지 평등권 실현
9 공공에 기인한 불로소득 공공 환수 제도 부동산 가격 상승 등 공공에 기인한 이득을 개인이 부당하게 취한 소득 환수
10 부당하게 취득한 이득 완전 환수 제도 사회 곳곳에 만연한 부정부패를 완전하게 척결
11 사회적상속세 단계적 도입 및 소득세 · 거래세 대체 사회적상속 공감대 형성, 자발적 시작 ➔ 점진적·단계적 도입 ➔ 기존 세수 대체
12 가계·자영업자 부채 ➔ 사회적상속 약정 시 국가 부채 전환 가계·자영업자 경제적 파산 ➔ 사회적 상속 약정 ➔ 국가 부채로 전환 및 구제
13 정당한 근로 소득 보장 위한 근로 가치 산정 제도 근로 소득 격차 해소 / 노사간 임금 협상 및 투쟁 시 적용 / 디지털 가치주의 실현
14 기업 활동에 대한 사회적 책임 제도 자동차 급발진 사고시 제조사가 원인 규명 책임, 가습기 세정제 피해 책임 등
15 사회 출생 아동에 대한 사회적 양육 및 책임 제도 저출산 대책 ➔ 출산 시 무상임대주택, 사회적 양육비, 의무 육아휴직
16 사회적 상속 재원을 통한 대학까지 무상 교육 사회적으로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인간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사회적 장치
17 열린 대학입학 제도 및 학업 성취도 반영 졸업 제도 절대평가로 내신 및 자격고사 통과시 원하는 대학 입학 / 학년 승급 및 졸업은 엄격히
18 대학 기능 정상화(학문의 전당, 지방대학 특성화로 균형 발전) 취업이나 돈벌이 수단 아닌 학문을 위한 공적 대학 / 대학별 장점 살려서 서열화 해소
19 주당 30시간 정년 없는 여유 있는 근로 제도 삶의 질 향상 / 일과 생활의 균형 향상 / 연금 없이도 노후 생활 가능한 세상
20 공적 책임을 다하는 의료 제도 수술실 CCTV 설치 / 간호사에 의한 가정 간호 제도 / 낙후 지역 의료기관 재정 지원
21 신재생에너지 전력 생산 통한 농어촌 기본소득 지역 소멸 방지 / 신재생에너지 전력 생산 확대 / 농어촌 지역 살리기
22 환경 과학 산업 환경 유익·손실 활동에 대한 사회적 배상 제도 생태 환경 보존 (디지털 생태주의)
23 친환경 추구 정의로운 과학기술 개발 보상 제도 지구 환경 보존 (디지털 생태주의)
24 탈원전 / 보관 중인 사용후 핵연료 영구처분 시행 영구적 환경 유해 발생 차단, 사고에 의한 환경 재앙 방지
25 미래 세대 위한 정상 인류 유전자 보호 제도 방사능 오염 식품 수입 금지, 핵 오염수 방류 반대
26 친환경 농업 및 미래 농업 기술 육성 및 장려 제도 곡물 수입 의존도 낮추어서 식량 안보 확보 / 미래 식량 위기 대비
27 산업 전환 및 미래 산업 장려 제도 탄소중립 2050을 위한 산업 전환 / 첨단 미래 산업 투자
28 문화를 미래의 주력 산업으로 육성하는 제도 문화 소비시장 및 지역 문화 활성화 / 작품이나 활동 가치에 대한 정당한 보상
29 대동 세상 북한 산림 나무 심기 협력 사업 기후 위기 남북한 공동 대응 / 남북 관계 개선
30 비무장지대 내 남북한 화합지대 조성 및 단계적 범위 확대 공동 지뢰 제거 작업 / 공동 생태 보존 / 남북 교류 확대
31 사회적 재난·참사 대응 체계 및 매뉴얼 보완·마련 국내외 재난·참사 대응 사례 철저한 조사·분석·연구 ➔ 대응 체계 및 매뉴얼 보완
32 사회적 재난·참사 발생시 진상 규명 위한 조사 기구 상설화 정부·지자체 등 관련 기관에 대한 성역 없는 조사 및 방지 대책 마련하는 기구 상설화
33 언론의 사회적 책임 제도 (시민 언론 플랫폼) 여론 몰이 혹은 사실 왜곡 시 경제적 손실 발생 / 인권 침해 방지 (디지털 인본주의)
34 피해자 인권 우선 보호 제도 가해자 보호로 인해 피해자가 입는 억울함 방지 / 중범죄에 대한 촉법소년 제도 폐지
35 피해자가 입은 피해·손실의 형평성에 맞는 양형 제도 억울한 피해자 양산 방지 / 가해자에 대한 합당한 처벌로 범죄 예방
36 상생 사회로 가기 위한 사회적 갈등 조정 기구 설치 좌우 이념 갈등, 지역 갈등, 계층 갈등, 세대 갈등, 노사 갈등 등 ➔ 조정 및 해소